반응형
HUG 전세보증보험 조건, 보증료 계산, 비대면 신청 절차까지 싹 정리! 신청 전에 반드시 읽어보세요👇
HUG 전세보증보험, 비대면으로도 되나요?
전세대출 받을 때 은행에서 “보증보험은 HUG로 연결됩니다”라는 얘기 많이 들으셨을 거예요.
근데 정작 HUG 전세보증보험이 뭔지, 왜 가입해야 하는지, 비대면으로도 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물죠.
오늘 이 글 하나로 아래 내용을 다 정리해드릴게요.
- HUG 전세보증보험이란?
- 대상 조건, 신청 절차
- 비대면 신청 가능한가?
- 보증료 계산법 + 예시
- 준비서류 및 거절 사유
🏢 HUG 전세보증보험이란?
HUG는 주택도시보증공사로 정부 산하의 공공기관입니다.
세입자가 보증금을 못 돌려받는 상황에 대비해 보증금을 대신 지급해주는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을 운영합니다.
✅ 가입 대상자는 누구?
- 전세보증금 7억 원 이하 (지방은 5억 이하)
- 무주택 세대주
- 정책형 전세대출(버팀목 등) 이용자
-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 (자녀 있으면 8천만 원까지 가능)
신혼부부, 청년층에게 특히 유리한 보증보험입니다.
📱 HUG 전세보증보험, 비대면 신청 가능할까?
가능합니다! 일부 은행에서는 모바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.
은행 | 비대면 신청 | 특징 |
---|---|---|
국민은행 | 가능 | 모바일 대출과 함께 연계 |
우리은행 | 부분 가능 | 보증보험은 은행창구 권장 |
하나은행 | 가능 | 디지털 창구 특화 |
신한은행 | 제한적 | 모바일 대출 후 보증보험은 별도 |
농협은행 | 가능 (지역농협 제외) | 정책형 상품 중심 지원 |
※ 단, 모바일 신청이라도 계약서/등기부등본 등 서류 스캔은 필수입니다.
📝 신청 절차 (비대면 포함)
- 전세계약 체결 → 확정일자 & 전입신고
- 모바일 or 창구에서 전세대출 신청
- 보증보험 자동 연계 (HUG)
- 서류 제출 (모바일 제출 가능)
- HUG 심사 (약 3~5일)
- 보증서 발급 후 대출 실행
💰 보증료 계산법 & 예시
HUG 보증료는 보증금에 따라 다르며, 평균 0.128% ~ 0.154% 수준입니다.
보증금 | 보증료율(0.15%) | 1년 보증료 | 2년 보증료 (할인 적용) |
---|---|---|---|
1억 | 0.15% | 15만 원 | 약 28만 원 |
2억 | 0.15% | 30만 원 | 약 56만 원 |
3억 | 0.15% | 45만 원 | 약 84만 원 |
TIP: 2년 선택 시 보증료 더 저렴!
📄 필요 서류 리스트
-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
- 임대차계약서 (확정일자 필수)
- 등기부등본, 건축물대장, 전입세대 열람내역
- 소득서류: 원천징수영수증, 소득금액증명원
- 혼인관계증명서 (신혼부부)
⚠️ HUG 보증보험 거절 사유
- 신용점수 600점 미만 → 심사 탈락 가능성 높음
- 계약서 오류 → 확정일자, 전입일자 불일치 등
- 임대인 문제 → 전세사기 우려자 or 다주택자
📌 특히 전세사기 위험지역은 HUG 심사가 더 까다롭습니다.
✅ 마무리 요약
- HUG는 정부기관이 운영하는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
- 정책형 대출을 받을 경우, 보증료 저렴하고 신뢰도 높음
- 비대면 신청도 가능하지만 서류 스캔은 필수
- 보증료 계산 → 2년 가입이 경제적
- 신청 전, 서류 미비 및 신용점수 꼭 체크!
반응형